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호계서원 > 문집

기본정보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관서원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연관서원 호계서원
명칭 『鶴峯全集』
문화재 지정 표기
저 자 金誠一
소장정보

상세정보

◦ 『鶴峯全集, 金誠一, 跋文

先生下世今五十七年及門之士零落殆盡無能謀所以壽其傳者廬江山長前縣監李君弘祚前直長南君礏深有慨于此與前參奉柳君義男朴君烶生員李君渫柳君橚及先生之從孫是榲諸公合議始役于廬江於是道內列邑守宰及士林咸助其費閱月而工告訖。…

선생께서 돌아가신 지 지금 57년이 되었다. 선생의 문하에 있던 인사들이 거의 다 죽어서 선생의 글을 영원히 전하기를 꾀할 만한 사람이 없었다. 여강(廬江)의 산장(山長)인 전 현감 이홍조(李弘祚), 전 직장 남업(南礏)이 이 점에 대해 몹시 개탄하여 전 참봉 유의남(柳義男)박정(朴烶), 생원 이설(李渫)유숙(柳橚)과 선생의 종손(從孫) 김시온(金是榲) 등 여러 사람들과 의논을 모아 비로소 여강에서 간행하는 역사(役事)를 시작하였다. 그러자 도내 열읍(列邑)의 수령과 사림(士林)이 모두 비용을 도와서 몇 달 뒤에는 역사를 마칠 수가 있었다.

 

◦ 『鶴峯全集, 金誠一, 附錄1

年譜

十五年丁亥先生五十歲

謁廬尊道祠卽今之虎溪書院也在府東洛江上萬曆丙子鄕人拓白蓮寺舊基建院以祀退溪先生是行趙月川適來相訪。○後士林以先生及西厓先生配食是廟

만력 15(1587, 선조 20) 정해. 선생 50

여강(廬江)의 존도사(尊道祠)를 배알하였다. - 바로 지금의 호계서원(虎溪書院)이다. 안동부의 동쪽 낙동강 가에 있는데, 만력(萬曆) 병자년(1576, 선조 9)에 향인(鄕人)들이 백련사(白蓮寺)의 옛터를 개척하여 서원을 세우고 퇴계 선생을 제향(祭享)하였다. 여기에 갔을 때 월천(月川) 조목(趙穆)이 마침 찾아왔었다. 나중에 사림(士林)이 선생과 서애 선생(西厓先生)을 이곳 사당에 배향(配享)하였다.

 

숙종 대왕 2(1676) 병진.

賜額廬江書院改爲虎溪書院

여강서원(廬江書院)에 사액(賜額)하고 이름을 고쳐 호계서원(虎溪書院)이라 하였다.

 

 

年譜跋

先生盛德大業磊落軒天地者雖不待是而著然事之始終本末無鉅細開卷瞭然凡可以辨誣謗焯勤勞者亦不能無賴於是然則或以爲行狀已備不必更爲此架疊者竊恐非通論也譜旣成自虎溪書院將刊布以廣其傳終始幹其役者柳上舍元鉉金大雅命錫也以栽之愚嘗與聞次輯之意見屬以識其後僭率是懼不敢猥有所稱述敍其編次顚末如此云柔兆敦牂夷則中旬後學安陵李栽謹識

천지간에 우뚝이 드높은 선생의 성대한 덕과 업적이 비록 이 책이 완성된 다음에야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사건의 시종(始終)과 본말(本末)을 크건 작건 간에 이 연보를 펼쳐 보면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으며, 거짓으로 헐뜯는 말에 대해 변증하거나 부지런히 수고한 사실을 밝히는 것도 이 연보에 힘입지 않을 수 없다. 그런즉 혹자들이 말하는 행장이 이미 갖추어졌으니 다시 연보를 지어 겹치게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은 아마도 통론(通論)이 아닌 듯하다.

연보가 이미 이루어진 뒤에 호계서원(虎溪書院)에서 이를 간행하여 널리 배포하게 되었는데, 종시토록 그 일을 주관해서 한 사람은 상사(上舍) 유원현(柳元鉉)과 대아(大雅) 김명석(金命錫)이다.

어리석기만 한 나 이재(李栽)가 일찍이 이 연보를 편찬하는 데 참여하였다는 이유로 연보의 끝에다가 발문(跋文)을 써 달라는 부탁을 받게 되었다. 참람되고 거칠게 할까 두려워서 감히 외람스럽게 칭술(稱述)하지는 못하고, 편찬한 전말에 대해서만 위와 같이 곧바로 서술한다.

병오년(1726, 영조 2) 7월 중순에 후학(後學) 안릉(安陵) 이재(李栽)는 삼가 적는다.

 

이미지

  • 등록된 이미지가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