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호계서원 > 문집

기본정보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관서원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연관서원 호계서원
명칭 『松巖集』
문화재 지정 표기
저 자 權好文
소장정보

상세정보

◦『松巖集, 權好文, 續集3, , 次李安仲題廬江書院韻

이안중이 여강서원에서 지은 시에 차운하다

현인을 존숭하는 서원을 경영하니 / 經始尊賢處

맑은 거처를 푸른 물이 감쌌네 / 淸幽遶碧流

유궁은 악록서원을 따르고 / 儒宮追嶽麓

정사는 창주정사와 꼭 같네 / 精舍宛滄洲

학문을 논하기에 적합할 뿐 / 正合陳編討

수계하는 일과는 관련 없네 / 非關稧事修

좋구나, 그대 뜻이 원대하여 / 憐君多遠志

피리양추 품고 있는 것이 / 皮裏抱陽秋

 

◦ 『松巖集, 權好文, 續集4, , 八月十七日參尊道祠享禮登養浩樓次柱上韻

817일 존도사 향례에 참여하고 양호루에 올라 주련의 시에 차운하다

강산이 붓으로 그린 그림보다 좋은데 / 江山猶勝畫毫裁

모래톱에 바람 불고 대에는 달이 밝네 / 風滿長洲月滿臺

멋진 벗과 좋은 때에 절경을 실컷 보며 / 勝友嘉辰饒絶賞

난간 앞엔 갈매기만 오도록 하였네 / 檻前唯許白鷗來

 

◦ 『松巖集, 權好文, 別集, 年譜, 松巖先生年譜

六年 神宗萬曆元年 癸酉 先生四十二歲

正月往易東書院校李先生文集仍論廬江書院營建事

6- 명나라 신종 만력 원년 -계유(1573) - 선생 42-

정월에 역동서원(易東書院)에 가서 이 선생의 문집을 교정하고 여강서원(廬江書院)을 건립하는 일에 대하여 의논하였다.

 

七年甲戌 先生四十三歲

往廬江書院以詩贈李逢原安道詩云一哭先生後追懷孰築場門人才思短家業訓言長文物朱雲谷風流顧建康數城俱會處應最不堪傷

7년 갑술(1574) - 선생 43-

여강서원에 가서 시를 지어 이봉원(李逢原) 안도(安道) 에게 주었다. - 시에 이르기를 선생께서 돌아가신 뒤, 추모하여 누가 축장을 하였나? 문인들의 생각이 짧지만, 가업의 교훈은 장구하리. 문물은 운곡의 주자요, 풍류는 건강의 고헌지라네. 여러 번 묘소에 함께 모인 곳에서, 가장 슬픔을 감당하지 못하겠네.[一哭先生後, 追懷孰築場. 門人才思短, 家業訓言長. 文物朱雲谷, 風流顧建康. 數城俱會處, 應最不堪傷.]”라고 하였다. -

 

撰廬江書院上樑文

여강서원(廬江書院)의 상량문을 지었다.

 

八年乙亥 先生四十四歲

正月往廬江書院與權定甫 宇 同留論學有唱酬詩

8년 을해(1575) - 선생 44-

정월에 여강서원에 가서 권정보(權定甫) () 와 함께 머물며 학문을 논하였다. - 수창한 시가 있다. -

 

九年丙子 先生四十五歲

9년 병자(1576) - 선생 45-

正月往廬江書院議定陶山廬江立享儀節

정월에 여강서원에 가서 도산서원과 여강서원의 입향 의절(儀節)을 의논하고 정하였다.

 

二月丁丑奉安李先生位版於廬江書院行享禮是日陶山書院亦奉安位版行享禮

2월 정축일에 이 선생의 위패를 여강서원에 봉안하고 향례를 행하였다. - 이날에 도산서원에서도 위패를 봉안하고 향례를 행하였다. -

 

八月謁廬江尊道祠行享禮先生時爲洞主

8월에 여강서원(廬江書院)의 존도사(尊道祠)를 배알하고 향례(享禮)를 행하였다. - 선생은 당시 여강서원의 동주(洞主)였다. -

 

十四年辛巳先生五十歲

14년 신사(1581) - 선생 50-

 

謁廬江尊道祠引諸生講學以詩示諸生曰吾身日省在曾三爲學工夫是指南時雨孔門誰得化春風程座更難參餘音恰似瑤琴奏至訓何徒玉屑談老學誰知同秉燭冥行擿埴自多慙作警學詩示門生有詩

봄에 여강서원(廬江書院) 존도사(尊道祠)를 배알하고 유생들을 이끌어 강학하였다. - 시를 지어 유생들에게 보이기를 날마다 내 몸을 세 가지로 반성한 것, 공부함에 이것을 지침으로 삼았네. 시우 같은 공자의 문하에서 누가 교화를 입었는가? 춘풍 같은 정자 문하에 다시 참여하기 어렵네. 글 읽는 소리는 거문고 타는 듯하고, 지극한 교훈은 좋은 말씀뿐이랴. 늙은 내가 병촉과 같음을 누가 알랴? 어두운 밤길 헤매니 부끄러움 절로 많네.[吾身日省在曾三, 爲學工夫是指南. 時雨孔門誰得化? 春風程座更難參. 餘音恰似瑤琴奏, 至訓何徒玉屑談. 老學誰知同秉燭? 冥行擿埴自多慙.]”라고 하였다. -

학생들을 경계하는 시를 지어 문하생들에게 보이다. - 시가 있다. -

 

十六年癸未 先生五十二歲

16년 계미(1583) - 선생 52-

 

講諸生于廬江書院

봄에 여강서원에서 학생들에게 강학하였다.

 

◦ 『松巖集, 權好文, 別集1, , 三月晦日 聞城主送春廬江院樓 獨吟呈一首

삼월 그믐날에 성주가 여강서원 누에서 봄을 보낸다기에 홀로 시를 지어 한 수 드리다

 

봄을 좇아 먼 정자를 향했다고 들었는데 / 聞逐東君向遠亭

끝내 한번 작별하고 동행하지 못하네 / 終應一別未同行

멀리 사람 전송함이 참으로 이와 같거늘 / 送人千里眞如是

괜스레 이별의 시름을 저물녘 꾀꼬리에게 부치네 / 謾把離愁屬晩鶯

 

이미지

  • 등록된 이미지가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