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군위군
충렬사 - 忠烈祠(張士珍義兵將遺蹟)

경상북도 기념물 제122호로 임진왜란시 약관(弱冠)의 나이로 창의하여 적을 크게 무찌른 장사진 의병장을 기리기 위하여 충렬사(忠烈祠)와 고리비(故里碑)를 일괄 문화재로 지정한 것이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병수리, 오천리
건립연도 0
제향인 장사진
문화재 지정 표기 경상북도 기념물 제122호
이칭 / 별칭
기타 사우

상세정보

장사진은 임진왜란 초 군위현(軍威縣)의 교생(校生) 신분으로서 100여 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군위·인동(仁同) 지역의 왜적을 공격하여 큰 전과를 거두었으나 1592년 9월 왜적과 분전하다가 끝내 순절하고 말았다. 조정에서는 그에게 수군절도사의 벼슬을 추증하였다. 당시의 기본사료인 『초본징비록 草本懲毖錄』과 『선조수정실록 宣祖修正實錄』에는 장사진을 곽재우(郭再祐)·김면(金沔)·정인홍(鄭仁弘)·김해(金垓) 등과 함께 경상도의 대표적 의병장으로 평가하였다.
고리비는 1753년(영조 29) 군위현감 남태보(南泰輔)가 장사진의 충절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웠다. 전면에는 '국상증수장사진고리(國殤贈水使張士珍故里)' 라고 기록했고, 뒷면에는 그의 행적을 새긴 비음기(碑陰記)가 있다.장사진을 제향하는 충렬사는 창건연대가 미상이다.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 때 훼철되었고, 그 뒤 초가삼간을 중건하였다. 1937년 군위군 향중사림(鄕中士林 : 문화유씨(文化柳氏)·용궁최씨(龍宮崔氏)·효령사공씨(孝令司空氏)·행주은시(幸州殷氏) 등)에 의해 현재의 건물로 중건되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