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동해시
용산서원 - 龍山書院

용산서원은 1705년(숙종 31) 학교를 세워 인재를 양성하려는 것이 가장 급선무라고 생각한 삼척부사 이세필이 참봉 최세량(崔世亮)을 훈장으로 임명한 용산학당에서 시작된다. 이세필은 손수 용산학당이라는 현판(懸板)을 써서 걸었다. 동년 9월 이세필이 사헌부 집의로 영전된 이후에도 이세필의 문인과 사림들은 계속해서 행례(行禮)를 거르지 않았다. 이후 1719년(숙종 45)에 학당을 증축하고 용산서당이라 하였다. 이때 좌랑 윤정(尹淀)이 이세필의 위패(位牌)를 쓰고, 좌상 조태억이 봉안문을 찬술하여 봉축(奉祝)했다. 1789년(영조 13)이 되면, 이세필의 계남 강원도 도백(道伯) 이형좌와 외손 경상도 도백 박문수의 힘으로 서원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다만,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폐되어 토지와 재산은 삼척향교에 이관되었으며, 흥학비(興學碑)만 남게 되었다. 이 흥학비는 1953년 현 위치로 옮겨졌고, 사림들이 계를 모아 사우를 재건하였다. 1966년부터는 율곡선생을 주(主)로 하고 우암 송시열을 동편에, 구천 이세필을 서편에 모셔 다례를 올리다가 1984년에 이세필만 봉안하고 이이와 송시열을 폐위하였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강원 동해시 효자로 583 (쇄운동, 용산서원)
건립연도 1705
제향인
문화재 지정 표기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스크린샷 2022-06-29 오후 9.02.07.png

스크린샷 2022-06-29 오후 9.02.13.png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