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남원시
용장서원 - 龍章書院

용장서원은 양능양(梁能讓), 양주운(梁朱雲), 김구용(金九容), 양대박(梁大樸)을 제향하는 서원이다. 양능양은 976년(고려 경종 1) 송나라 국자감에서 전례(典禮)와 경의(經義)를 강(講)한 바 있으며. 중국의 빈공과에 급제, 고려 성종 연간 중봉대부(中奉大夫)에 책록되었다. 병부랑중·동궁내 시강학사 등을 역임하고 김치양 난으로 남원에 은거하였다. 양주운은 고려 원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삼별초 난을 진압하여 찬화공신 삼중대광에 책록되었다. 정당문학을 역임했으며 용성부원군에 봉해지고 남원부를 식읍으로 받았다. 김구용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덕녕부주부(德寧府注簿)·민부의랑겸성균직강(民部議郎兼成均直講)·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성균관대사성·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등을 역임하였다. 양대박은 임진왜란 의병에 창의하여 고경명의 종사관으로 활약하였다. 보국숭록대부 판중추부사 겸 병조판서(輔國崇祿大夫判中樞府事兼兵曹判書)에 추증되었다.
용장서원은 시대 미상으로 본래 일원사(一源祠)를 창건하여 양능양의 위패를 봉안한 것이 그 시작이다. 이후 후손들이 1302년 용성사(龍城祠)를 창건하고 1402년(태종 2) 용장서원으로 개칭하였다.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으로 소실된 뒤 정조 연간 현 위치로 옮겨 중건하였고,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1984년 1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5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번호 폐지에 따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상동길 7-1 (상동리, 제각)
건립연도 1302
제향인 양능양, 양주운, 김구용, 양대박
문화재 지정 표기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