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김제시
서강사 - 西岡祠

서강사는 장안세(張安世), 장태수(張泰秀)를 기리는 사당이다. 장안세는 정헌대부(正憲大夫), 덕령부윤(德寧府尹), 함주부사(咸州府使) 등을 역임하였고 조선건국 직후 태조의 부름을 거부하며 아들 장중양(張仲陽)과 함께 경북 구미 인동에 은거하였다. 장태수는 구한말 순국지사로. 김제 출신이다. 1861년 문과에 급제한 뒤 승문원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 선략장군부사과(宣略將軍副司果), 예조정랑(禮曹正郎),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장령(掌令),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병조참의(兵曹參議),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동부승지(同副承旨),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춘추관수찬관(春秋官修撰官) 등을 역임하였다. 1867년 양산군수로 부임하여 임진왜란 때 순절한 조영규(趙英珪)의 제단을 고쳐 제향하였고, 1895년 단발령이 내려지자 관직을 사임하고 은거하였다. 신명학교(新明學校)를 세워 후진을 양성하였으며 1910년 한일병합 직후 단식하여 24일만에 순국하였다.
1935년 인동장씨 문중에서 사우를 창건할 때 장태수를 주향으로 하려했으나 일제의 반대로 인해 고려 말 충신인 장안세를 주향으로 하고 장태수를 배향으로 하였다. 2000년 6월 23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5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번호 폐지에 따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전북 김제시 금구면 양시로 125-27 (서도리)
건립연도 1935
제향인 장안세, 장태수
문화재 지정 표기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이칭 / 별칭
기타 사우

상세정보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