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무주군
백산서원 - 栢山書院

백산서원은 하연(河演)과 그의 후손 하징도(河徵道), 하정도(河呈道), 하형도(河亨道), 하현도 형제를 제향하는 서원이다. 하연은 조선전기 문신으로, 1396년(태조 4) 문과에 급제하고, 직예문춘추관수찬관(直藝文春秋館修撰官)·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동부대언(同副代言)·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병조판서(吏曹判書)·영의정(領議政) 등을 역임하였다. 전라도관찰사를 지낸 경력으로 사림이 제향하였다. 하징도 형제는 하연의 후손 하위국(河衛國)의 아들들로, 이호민·유성룡의 문인이다. 먼저 하징도는 첫째 아들로, 임진왜란 때 부친을 따라 무주로 이거하였다. 둘째 아들 하정도는 병조좌랑겸춘추관기사관(吏曹左郞兼春秋館記事官)을 역임하였다. 하형도는 효자로서 『무주부읍지(茂朱府邑誌)』에 그 효행이 기록되어 있다. 하현도는 동계 정온·초려 이유태 등과 교유하였다.
백산서원은 1821년(妥眞祠)를 창건한 것이 그 시작이다. 그 해에 사액을 받았으나 1869년(고종 6)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05년 후손과 유림들이 복원하였고 1917년 백산사 건립을 완공한 후 백산서원으로 개명하였다. 본래 하징도 4형제의 위패를 모시던 대덕사(大德祠)가 철거되어 죽계서원(竹溪書院)에 모셨는데, 흥선대원군의 철폐령으로 또 훼철되면서 이때에 백산사에 4형제의 위패를 함께 봉안했다. 1971년 서원 보수 후 보수비(補修碑)를 건립하였고 1997년 12월 31일 전북지방유형문화재 제81호로 지정되었다. 2000년 6월 23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0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번호 폐지에 따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전북 무주군 무풍면 북리길 40 (현내리, 백산서원)
건립연도 1821
제향인 하연, 하징도, 하정도, 하형도, 하현도
문화재 지정 표기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