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고창군
송양사 - 松陽祠

송양사는 성사달(成士達)을 주향으로 하고, 성부(成溥), 성여원(成汝源), 성무조(成武祚), 성경수(成卿修)를 배향하는 창녕성씨 사우이다. 성사달은 고려 공민왕 당시 공신으로, 1341년 문과급제 후 한림사성(翰林司成)을 역임하였다. 1362년(고려 공민왕 11) 홍건적이 침입해오자 좌대언지신사(左代言知申事)로서 왕을 호종하여 호종일등공신이 되고 창산부원군(昌山府院君)에 봉해졌다.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교주도병마사(交州道兵馬使)·춘추관사(春秋館事)·집현전학사(集賢殿太學士)·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 등을 역임하였다. 성부는 고려 후기 문신으로, 정몽주 문인이자 두문동 72현 중 한명이다. 형부총랑(刑部摠郞)을 역임하였다. 성여원은 성부의 6대손으로, 성혼(成渾)의 문인이다. 인조 때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조좌랑(吏曹佐郞)을 역임하였다.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기병하여 군량을 행재소로 보내려고 했으나 난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곡식을 관에 납입하였다. 성무조는 조선 후기 효자로 성여원의 6대손이다. 청류재(聽流齋)에 은거하면서 후진을 양성하고, 1892년 조봉대부동몽교관(朝奉大夫童蒙敎官)에 증직되었다. 이듬해 정려(旌閭)가 내려졌다.성경수는 개항기 효자로, 기삼연(奇三衍)의 문인이다. 기우만과 함께 학문을 배우고 경학과 예학에 통달하였다. 의연금(義捐金)과 의곡(義穀)을 의병청에 보낸 바 있다.
송양사는 1928년 착공하여 1930년에 완공하였다. 1946년 중수가 있었고 2000년 6월 23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3호로 지정되었다. 2018년 한 차례 보수가 있었으며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 지정번호 폐지에 따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전북 고창군 해리면 해리송산길 118-30 (송산리)
건립연도 1930
제향인 성사달, 성부, 성여원, 성무조, 성경수
문화재 지정 표기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이칭 / 별칭
기타 사우

상세정보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