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회연서원 > 관찬사료

간략정보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관서원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 257
건립연도 1627
문화재 지정 표기
제향인 이윤우, 송사이, 이홍기, 이홍량, 이홍우, 이서, 정구
기타 서원

관찬사료

숙종실록 21, 숙종 15114일 정유 2번째기사 1689년 청 강희(康熙) 28

좌의정 목내선(睦來善)이 청대(請對)하여 말하기를,

"역로(驛路)의 폐해가 심하여 칙사를 지대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니, 병조와 상평청(常平廳)에서 전미(錢未)를 내리게 함이 마땅합니다.“

하니, 임금이 그대로 따랐다. 이보다 앞서 성천(成川사인(士人) 문목공(文穆公정구(鄭逑)의 서원(書院)에 사액(賜額)하기를 청하였으니정구가 일찍이 성천의 수령을 지냈기 때문이었다성주(星州)는 바로 정구의 장수(藏修)하던 땅이라 회연서원(檜淵書院)을 세웠는데성천에 먼저 사액한 까닭으로 첩설(疊設)을 금하는 것에 저촉되므로 사액을 허락하지 아니하였는데목내선이 임금에게 말하여 비로소 시행하기를 명하였다목내선이 또 말하기를,

"() 대사헌(大司憲조수익(趙壽益)은 염정 경개(恬靜耿介)하여 만년(晩年)에 한가로이 물러가 있을 때에조경(趙絅)의 죄없음을 상소로 변명하다가 당시 사람에게 거슬려서 폐처(廢處)되었는데, 일찍이 이로써 상경(上卿)에 증직되었으니, 또한 시호(試號)를 내려 가장(嘉奬)하는 뜻을 보이는 것이 마땅합니다.“

하고, 도승지(都承旨유명현(柳命賢)도 말하니, 임금이 좋다고 하였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