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동래구
충렬사 - 忠烈祠

충렬사는 1592년 일어난 임진왜란 때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부산지방의 순국선열이나 공을 세운 선열을 모신 곳이다.
1605년(선조 38)에 동래부사 윤훤(尹暄)이 동래읍성 남문 안에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의 위패를 모신 송공사(宋公祠)를 지어 매년 제사를 지낸 것이 그 시초이다. 그 후 1624년(인조 2) 선위사(宣慰使) 이민구(李敏求)의 청으로 ‘충렬사’라는 사액(賜額)이 내려짐에 따라 송공사는 충렬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1652년(효종 32) 동래부사 윤문거(尹文擧)가 사당이 좁고 성문 가까이에 있어 시끄럽다는 점과 송상현공의 충절과 학행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서 안락리(지금의 충렬사 자리)로 이전하였다. 이때 강당과 동․서재(東西齋)를 지어 안락서원(安樂書院)이라고 하여 사우와 서원으로서의 기능을 갖추었다.
한편 1709년(숙종 35)에 송상현이 순절할 때 함께 전사한 양산군수 조영규(趙英圭), 동래교수(東萊敎授) 노개방(盧蓋邦) 등의 위패를 모신 별사(別祠)를 옛 송공단 터에 건립하였다. 1736년(영조 12) 별사에 모셨던 분들을 충렬사에 함께 모셨고, 1772년에는 다대진첨사 윤흥신(尹興信)을 추배하고, 임진왜란 때 송상현․정발을 따라 죽은 금섬(金蟾)과 애향(愛香)을 위해 충렬사 동문 밖에 사당을 세웠다. 임진왜란 충신 3인, 효열(孝烈) 5인을 봉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서도 무사하였다.
일제시대에는 동래 유림에 의해 봉행되는 제향이 민족정기를 북돋운다고 하여 일제가 방해를 가했기 때문에 보수하지 못하여 건물이 낡고 허물어져 갔다. 1976년부터 1978년까지 정화공사를 대대적으로 실시하였다. 1991년에는 임진왜란 때 동래부지역 전투에 참가하여 순절하거나 공을 세워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된 자 중에서 조사미비로 누락된 66명에 대한 공적을 확인하여 13명을 추가로 모셨고, 1997년에 다시 3위, 2003년에 1위, 2006년에 1위를 각각 추가로 모셨다. 현재는 25,600평의 경내에 본전 외에 15채의 건물이 있으며, 93위(본전 89, 의열각 4)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매년 5월 25일에는 온 시민의 정성으로 제향을 올린다.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부산 동래구 충렬대로 345 (안락동, 충렬사)
건립연도 1605
제향인 정 린, 김옥계, 이희복, 정인강, 최한손, 최송엽, 최한연, 최수만, 최막내, 박지수, 송용경, 이춘상, 문택룡, 박경립, 김호의, 김사위, 박천추, 정호인, 문도명, 정언룡, 이성춘, 최밀양, 김팽양, 이은춘, 신 복, 김진옥, 부산진충복 용월, 박귀희, 구영취, 이위, 김망내, 이응원, 이 수, 김종수, 김달망, 박응복, 김덕봉, 심 남, 이실정, 김허농, 정수원, 주난금, 박 림, 의녀 2명, 정 철, 송상현, 김섬, 애향, 부산진ㆍ다대진 무명용사, 정운, 윤흥제, 동래부전투 무명용사, 부산포해전 무명용사, 무명용사, 이정헌, 김상, 송백, 정발, 윤흥신, 조영규, 노개방, 문덕겸, 양조한, 송봉수, 송창문, 신여로, 김정서, 정순, 김복, 이응필, 오춘수, 박인수, 강개련, 송계남, 이복, 송의남, 동래부충복 철수, 김대의, 김흘, 김일개, 김일덕, 김근우, 이언홍, 김달, 송남생, 황보상, 오홍, 김기, 동래부충복 매동
문화재 지정 표기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제 제 7호
이칭 / 별칭
기타 사우

상세정보

부산 충렬사1.png

 

부산 충렬사2.png

 

부산 충렬사3.png

 

부산 충렬사4.png

 

부산 충렬사5.png

 

부산 충렬사6.png

 

부산 충렬사7.png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