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산청군
배산서원 - 培山書院

배산서원은 본래 1588년(선조 21) 고을 유림들이 평소 이원이 머물던 신안에 신안서원(新安書院)을 건립한 데서 출발한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신안서원이 소실되자 문익점의 외손이었던 이원과 이광우를 도천서원에 봉안하게 되었고, 이후 도천서원이 사액을 받으면서 별도로 배산서원을 건립하여 이원, 이광우의 위패를 옮겨왔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으며 일제강점기 공자교가 들어오며 배산서당이 건립, 공자(孔子)[BC551~BC479], 이황(李滉)1501~1570], 조식(曺植)[1501~1572], 이원(李源)[1501~1569], 이광우(李光友)[1529~1619]를 제향하였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문화재청 홈페이지
위치 경남 산청군 단성면 배양길 16 (사월리, 배산서원)
건립연도 1792
제향인 이원, 이광우, 공자, 조식, 이황
문화재 지정 표기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배산서원은 공자(孔子)[BC551~BC479], 이황(李滉)1501~1570], 조식(曺植)[1501~1572], 이원(李源)[1501~1569], 이광우(李光友)[1529~1619]를 제향하는 서원이다. 공자는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로 유교를 처음 창시한 인물이다. 이황은 동방오현 중 한명으로 조식·이원과는 동갑이다. 경상좌도의 예안현에서 태어나 주자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조식·이원은 각각 경상우도 삼가현과 단성현에서 태어났다. 조식은 이원에게 네 가지가 같은 벗이라 하였는데, 같은 해에 경상도에서 태어나 품성과 도덕이 같다고 하였다. 이광우는 백부 이원에게 소학을 배우고 22세에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563(명종 18)에는 이원과 함께 도산으로 가 이황을 찾아뵙고 문인이 되었다.

배산서원의 시작은 1588(선조 21) 고을 유림들이 평소 이원이 머물던 신안에 신안서원(新安書院)을 건립한 데서 출발한다. 1589(선조 22) 2월에 완공되어 위판을 봉안하였으나 1592(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소실되었다. 이후 1612(광해군 4) 도천서원이 중건되자 1702년 문익점의 외손인 이원과 이광위의 위패를 도천서원에 봉안하였다. 그리고 1787(정조 11) 도천서원이 사액을 받자 1788(정조 12) 배산(培山)에 서원을 건립, 1792(정조 16) 완성되고 윤 4월 위판을 봉안, 이원·이광우를 함께 향사하였다. 1871(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

서원이 훼철되자 합천이씨 문중의 진암(眞菴) 이병헌(李炳憲)1919년 현 위치에 배산서당을 건립하여 1923819일 완공하였다. 이병헌은 일제강점기 공자교를 제창하고, 그 일환으로 서당을 건립한 것이다. 당시 배산서당은 문묘(文廟)와 도동사(道東祠), 강당으로 구성되어 문묘에는 공자, 도동사에는 이황·조식·이원·이광우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이황·조식은 조선시대 경상좌·우도를 대표하는 유학자로서, 특히 이황은 동방오현 중 한명이기도 하다. 이원은 이들과 동갑에 함께 교유한 바 있으며 이광우는 이원의 조카로서 함께 제향되었다. 배산서당의 현판은 중국에서 공자교를 일으킨 학자 강유위가 썼으며, 김구·이시영·조완구·박은식 등이 배산서당 낙성축문을 작성해주었다.

19837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1호로 배산서원이 지정되었으며 2018산청 배산서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2021년 문화재지정번호가 폐지되면서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