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달성군
도동서원 - 道東書院

1605년(선조 38) 지방 유림의 공의(公議)로 김굉필(金宏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07년 ‘道東(도동)’이라고 사액되었으며, 1678년(숙종 4) 정구(鄭逑)를 추가 배향하였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毁撤)되지 않고 존속한 47개 서원 중의 하나이다. 1964년 전면 보수하였으며, 경내의 건물로는 사당(祠堂)·중정당(中正堂)·거인재(居仁齋)·거의재(居義齋)·수월루(水月樓)·환주문(喚主門)·내삼문(內三門)·장판각(藏板閣)·고직사(庫直舍) 등이 있다.
도동서원강당사당부장원(道東書院講堂祠堂附墻垣)은 보물 제350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단층 맞배지붕으로 된 사당에는 김굉필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정구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좌우에는 창건 당시에 그린 벽화 2점이 있다.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된 강당인 중정당은 원내의 여러 행사 및 학문의 강론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장원(墻垣)이 부속되어 있다. 거인재와 거의재는 각각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로서, 유생들이 기거하던 곳이다. 매년 2월과 8월 중정(中丁)에 향사(享祀)를 지내고 있으며, 소장전적은 하사서적(下賜書籍)인 『춘추(春秋)』 10권, 『오경백편(五經百篇)』 5권, 『경현록(景賢錄)』 등 95종 529책이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달성 도동서원(達城道東書院))]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 (도동리, 도동서원)
건립연도 1568
제향인 김굉필, 정구
문화재 지정 표기 사적 제488호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