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안동시
청성서원 - 靑城書院

청성서원은 조선시대 학자인 권호문(權好文)[1532~1587]을 제향하는 서원이다. 그는 1573년(선조 6) 역동서원에서 『퇴계집』을 교정하고, 이황을 제향하는 여강서원(廬江書院)의 건립 논의 및 여강서원, 병산서당(屛山書堂), 경광서당(鏡光書堂), 청성정사(靑城精舍) 등에서 학문을 강하였다. 사후 사림의 발의로 그를 제향하는 청성서원이 건립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문화재청 홈페이지
위치 경북 안동시 풍산읍 웃막실길 10 (막곡리, 청성서원)
건립연도 1612
제향인 권호문
문화재 지정 표기 경상북도 기념물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청성서원은 조선시대 학자인 권호문(權好文)[1532~1587]을 제향하는 서원이다. 권호문의 아버지는 안주교수(安州敎授)를 역임한 권륙(權稑)이며 어머니는 이황(李滉)의 조카딸인 진성이씨(眞城李氏)이다. 1549(명종 4) 2월 부친상을 당하고 삼년상을 치른 뒤 1551(명종 6) 이황을 찾아가 문인이 되었다. 가을에 한서재(寒棲齋)가 완공되자 기거하며 학문을 연마하였고, 겨울에는 이황과 함께 청량사(淸凉寺)에서 책을 읽었다. 1553(명종 8) 영주 소수서원을 방문하여 명륜당에서 강학을 하였고 1555(명종 10)·1556(명종 11)에는 스승을 모시고 청음석(淸吟石), 청량산(淸凉山)을 유람하였다.

1558(명종 13) 향시에 합격하고, 1561(명종 16)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3년 뒤 모친상을 당하고 1566(명종 21) 청성산 아래에 연어헌(鳶魚軒)을 지어 노년을 보낼 곳으로 삼았다. 1573(선조 6) 역동서원에서 퇴계집을 교정하고, 이황을 제향하는 여강서원(廬江書院)의 건립을논의하였다. 같은 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청성정사(靑城精舍)를 지었다. 1576(선조 9) 여강서원의 원장으로서 도산서원과 여강서원의 입향 의절(儀節)을 의논하고, 향례를 거행하였다. 이후 여강서원을 비롯하여 병산서당(屛山書堂), 경광서당(鏡光書堂), 청성정사(靑城精舍) 등에서 학문을 강하였다. 만년에 집경전참봉(集慶殿參奉), 내시교관(內侍敎官)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동문(同門)인 권문해(權文海류성룡(柳成龍김성일(金誠一황준량(黃俊良) 등과 교우가 깊었다.

1587(선조 20) 권호문이 세상을 떠나자 사림에서 평소 그가 강론하던 유정재(幽貞齋) 서쪽[청성산 아래]에 서원을 건립하기로 발의하여 1612(광해군 4) 청성서원을 건립, 8월 위판을 봉안하고 향례를 거행하였다. 1768(영조 44) 낙석(落石)의 우려가 있어 금화동(金華洞)으로 서원을 이건하였으며 1868(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후 1909년 서원과 사당을 복원하였으며 191610월 위판을 봉안하고 향례를 거행하였다. 2017515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175호로 지정되었다2021년 문화재지정번호가 폐지되면서 경상북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