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안동시
화천서원 - 花川書院

화천서원은 류운룡(柳雲龍)[1539~1601], 김윤안(金允安),[1562~1620] 류원지(柳元之)[1598~1674]를 제향하는 서원이다. 류운룡 사후 서원건립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나 시행되지 못하다가 후손 및 향유 사림에 의해 1786년(정조 10) 창건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경북 안동시 풍천면 광덕솔밭길 72 (광덕리, 화천서원)
건립연도 1786
제향인 유운룡, 김윤안, 유원지
문화재 지정 표기 경상북도 기념물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화천서원은 류운룡(柳雲龍)[1539~1601], 김윤안(金允安),[1562~1620] 류원지(柳元之)[1598~1674]제향하는 서원이다. 류운룡은 류성룡의 형으로 이황의 문인이다. 1592(선조 25)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기 위해 힘썼고 군국기무(軍國機務)에 관한 상소를 올린 바 있다. 전함사별좌(典艦司別坐인동현감·사복시첨정·풍기군수 등을 역임했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김윤안은 류운룡·류성룡의 문인이다. 임진왜란 시 김해(金垓) 휘하에서 창의하였으며 1604(선조 37) 오현의 문묘종사소의 소두를 맡은 바 있다. 1612(광해군 4) 문과에 급제하여 대구부사·대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614(광해군 6) 정온(鄭蘊)이 영창대군 사사 사건의 부당함을 알리는 갑인봉사소를 올려 제주도로 유배가게 되자 시를 지어 그를 위로하였다.

류원지는 류성룡의 손자로 어린 시절 할아버지에게 공부를 배웠고, 자라서는 계부 류진(柳袗)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30(인조 8) 33세에 창락도 찰방(昌樂道 察訪)에 특제되었고, 이 해에 정경세(鄭經世)를 찾아뵈었다. 병자호란 당시 외사촌 이홍조(李弘祚)와 함께 창의하였고 현종 연간 예송논쟁에서 상례고증(喪禮考證)을 지어 서인의 기복설을 반박하였다. 황간·진안현감·장악원주부·안기도찰방(安奇道 察訪) 등을 역임하였다.

화천서원은 그의 사후 정경세에 의해 제향 논의가 있었고 그 후 金光源 등 여러 공들이 거듭 논의한 바 있었다. 이에 1708(숙종 34) 풍기의 우곡서원(愚谷書院)에서 류운룡을 제사지냈고 이로 인하여 오산서원(吳山書院봉람서원(鳳覽書院) 등에서도 제사지내자는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법령에 구애되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후 1786(정조 10) 선생의 자손들이 가묘(家廟)에서 제사를 지내다 별도로 사당을 창건하기로 하고 도산서원에 의논을 구함으로써 사림의 의논이 크게 일어나 여러 서원에서 문자와 재물이 끊임없이 왔다.

옥연(玉淵) 북쪽에 사당을 건립하기 시작하여 몇 개월 만에 고유와 낙성식을 거행했으며 편액은 경덕(景德)이라 하였다. 봉안식에는 약 3,700여 명의 사림들이 모였다고 한다. 1802(순조 2) 부속 건물로 숭교당(崇敎堂), ·서재를 건립하였다. 동재는 주경(主敬), 서재는 사성(思誠)이라 하였으며 예조참판 김굉(金㙆)이 썼다. 이듬해 1803(순조 3) 류운룡의 문인 김윤안과 손자 류원지를 추배(追配)하였고, 1822(순조 22) 전에 건립한 서루(書樓) 10칸을 주역 겸괘(謙卦)의 뜻을 가져와서 지산루(地山樓)라고 하였다. 그리고 장판각을 만들고 출입처는 유도문(由道門)이라 하고 서원의 이름을 화천서원이라 하였다. 글씨는 판서 조윤형(曺允亨)이 썼다.

1868(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에 의해 강당과 주사만 남기고 훼철되었다. 1966년 복원을 위해 후손들의 기금을 모집하여 199652일 복설 고유제를 거행하였다. 20091123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 163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문화재지정번호가 폐지되면서 경상북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