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안동시
도산서원 - 陶山書院

도산서원은 이황(李滉)과 조목(趙穆)을 제향하는 서원으로 1570년(선조 3) 이황이 사망하고 2년 뒤인 1572년(선조 5) 제자 조목(趙穆)을 중심으로 상덕사(尙德祠) 건립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바로 시행되지 못하다가 1574년(선조 7) 완공하고 이듬해 서원까지 완공한 후 바로 사액을 받았다. 1576년(선조 9) 이황의 위패를 봉안했으며 1600년(선조 33) 도산서원에서 『퇴계집(退溪集)』을 간행하였다. 그리고 1606년(선조 39) 조목이 사망하자 1615년(광해군 7) 대북의 후원 아래 조목을 종향하였다. 이는 곧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대북정권이 몰락하면서 도산서원의 위상 약화로 이어졌다. 그러다 1733년(영조 9), 1756년(영조 32), 1781년(정조 5), 1792년(정조 16), 1816년(순조 16), 1839년(헌종 5) 까지 5차례 역대 왕들로부터 치제를 받으면서 그 위상은 다시 높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1792년에는 치제와 함께 도산별과(陶山別科)가 시행되어 약 7,000여 명이 응시할 정도였다. 이후 1796년(정조 20) 이를 기념하기 위해 남인의 영수였던 채제공으로부터 비문을 받고 시사단 비각을 건립하였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당시 존속하였고, 이후 1884년 11월 조정으로부터 서류(庶流) 소통의 명을 받으면서 서원 내 갈등이 일어나기도 했다. 1901년 상덕사에 있던 이황의 위패를 도난당해 고종황제로부터 다시 위판을 받았다. 1914년 도산서원에서 『도산급문제현록』을 간행했으며 1969년 5월 31일 사적 170호로 지정되었다. 2019년 한국의 9개 서원[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에 포함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문화재청 홈페이지
위치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680
건립연도 1574
제향인 조목, 이황
문화재 지정 표기 사적 170호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도산서원001.jpg

 

도산서원002.jpg

 

도산서원003.jpg

 

도산서원004.jpg

 

도산서원005.jpg

 

도산서원006.jpg

 

도산서원007.jpg

 

도산서원008.jpg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