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안동시
기양서당 - 岐陽書堂

기양서당은 회헌(檜軒) 유의손(柳義孫) 선생과 기봉(岐峯) 유복기(柳復起)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곳이다. 처음 설립할 당시인 1615년에는 유복기가 서재로 건립하여 학문을 강론하던 곳이었다. 1716년에 후손들에 의해 서당으로 중창하였고, 그 후 추원사(追遠祠)를 세워 1780년에 유복기의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1806년에 유의손의 위패를 추봉(追奉)하였다.의손은 조선 초기의 학자로 세종때 이조참판·예조참판을 지냈으며, 유복기는 조선 중기의 학자로 임진왜란 때는 의병장으로 활약하였고, 예빈시정(禮賓寺正)을 지낸 바 있다.
사당인 추원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며, 강당인 역락당(亦樂堂)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동쪽과 서쪽에 각각 2칸 크기의 방(房)이 딸려 있다. 1979년 12월 18일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재 제 17호로 지정되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기양서당(岐陽書堂)]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경북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537-1
건립연도 1615
제향인 유복기, 유의손
문화재 지정 표기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재 제 17호
이칭 / 별칭
기타 서당

상세정보

8.png

 

9.png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