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역동서원 > 관찬사료

간략정보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관서원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경북 안동시 송천동 388
건립연도 1567
문화재 지정 표기
제향인 우탁
기타 서원

관찬사료

◦ 『書院謄錄, 1717, 숙종 9(1683) 정월 26易東書院에 사액하는 것과 徐敏에게 旌閭하는 건

1. 정언(正言) 유명일(俞命一)의 상소에 근거하여 예조(禮曹)에서 올린 계목(啓目), “계하(啓下) 문건은 점련(粘連)하였습니다. 대간(臺諫)의 신하가 임금의 명을 받아 외방(外方)에 나갔다가 임무를 수행하고 조정에 돌아와서 문()을 숭상하고 효심(孝心)을 흥기시키고자 이렇게 상소하였습니다. 우탁(禹倬)의 충의(忠義)와 높은 절개, 역학(易學)에 대한 깊은 공부는 실로 사림들이 존경하고 흠모하는 것으로, () 선정신(先正臣) 이황(李滉)이 주창하여 우탁의 위패를 모시는 역동서원(易東書院)을 건립하였습니다. 근래 서원에서 사액을 청하는 폐단이 비록 시끄럽기는 하지만 역동서원의 경우에는 관례대로 사액을 하는 것이 마땅할 듯한데, 서원의 유림(儒林)들이 아직까지 사액을 청하지 않았으니, 참으로 그 연유를 알 수 없습니다. 만약 선비들의 의논이 일제히 상소하여 사액을 청하였다면 끝내 그들의 청원에 부응하였을 것입니다. 강희(康熙) 22(1683) 정월 27일에 동부승지(同副承旨) () 이언강(李彦綱)이 담당하였는데, “회계(回啓)한 대로 시행하되, 우탁의 학문과 절의가 이처럼 우뚝하니, 많은 선비들이 일제히 상소하는 것을 기다릴 필요 없이 특별히 역동서원에 사액하라.”고 계하(啓下)하였다. 원 상소는 이조(吏曹)에 보내고, 예문관(藝文館)에서 봉감(捧甘)하여 본도(本道)에 공문(公文)을 보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