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청성서원 > 문집

기본정보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관서원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연관서원 청성서원
명칭 『松巖集』
문화재 지정 표기
저 자 權好文
소장정보

상세정보

◦ 『松巖集, 權好文, 附錄, 碣銘 幷序 金應祖

公歿後數十年門人等立廟無悶齋西春秋俎豆之卽今靑城書院是也。…

공이 세상을 뜨고 수십 년 뒤에 문인들이 무민재(無悶齋) 서쪽에 묘우(廟宇)를 세워 봄가을로 향사를 올렸는데, 지금의 청성서원(靑城書院)이 그것이다.

 

◦ 『松巖集, 權好文, 3, , 南景祥寄城山精舍次韻送之 癸酉

구름 속에 막 정사를 지으니 / 斲雲初結社

문득 속세 피한 것을 알겠네 / 頓覺避塵區

삼신산을 찾아간 듯 빼어나고 / 勝敵尋三島

오호에 배 띄운 듯 한가하네 / 閑同泛五湖

낚싯대에 저녁놀 비치고 / 漁竿橫暮靄

쟁기로 봄풀을 갈아엎네 / 耕耒破春蕪

부럽지 않네, 공명 이룬 사람이 / 不羡功名骨

경비의 차림으로 대로를 내달리는 것이 / 輕肥走九衢

 

◦ 『松巖集, 權好文, 속집권6, , 靑城精舍上樑文

빠른 세월이 절로 멈추지 않아서 / 駸駸歲月不自舍

학문 전념의 오랜 뜻이 거의 어긋났었고 / 幾違藏修之舊懷

곳곳의 산수마다 집을 지을 만하였으나 / 處處溪山皆可廬

문득 이곳에서 오랜 숙원을 이루게 되었네 / 忽遂栖息之宿志

저 학교가 황폐해진 것을 한탄하다가 / 恨彼學校之荒廢

기쁘게도 우리 서당을 지으니 / 欣我書室之作興

어찌 학업을 닦는 명소일 뿐이랴 / 豈但肄業之名區

또한 승경 찾는 절경으로도 충분하네 / 亦足探勝之絶境

진기한 바위와 나무가 집 주위에 둘러있고 / 怪石琪樹周匝簷楹之間

광풍과 제월이 탑상 위를 오가네 / 霽月光風徘徊几榻之上

만 겹의 옥산을 바라보고 / 挹萬疊之玉嶂

십 리의 안개 낀 백사장을 굽어보며 / 俯十里之煙沙

지도에 아름다운 이름을 올리고 / 騰佳名於輿圖

시 속에 맑은 경치를 실컷 담네 / 飽淸景於騷牘

아리따운 서시의 자태는 / 娟娟西氏之面

바람 멎은 물빛이고 / 是風定之波光

늠름한 군자의 모습은 / 凜凜君子之容

또한 구름 걷힌 산 풍경이네 / 亦雲收之岳色

진실로 진귀한 볼거리가 풍부하여 / 實瓌觀之斯富

편안히 지내며 가난을 잊을 만하고 / 可燕居而安貧

그윽이 생각해보니 주인인 송암은 / 竊惟主人松巖子

천석에 고질병이 있고 / 泉石膏肓

운림에 기이한 버릇이 있네 / 雲林奇癖

온종일 기심을 잊은 채 / 忘機終日

오래 해옹의 갈매기를 마주하고 / 長對海翁之鷗

이따금 새장을 열어 / 開籠有時

화정의 학을 풀어 주려 하네 / 要放和靖之鶴

어찌 깊지 않은 숲에 들어가길 걱정하랴 / 胡恐入林之不密

스스로 재주 없어 세상에 나가길 싫어하고 / 自嫌出世之非才

넉넉히 강호의 산인이 되어서 / 賸作江湖之散人

괜스레 도원의 일객에 견주네 / 謾擬桃源之逸客

산속에 아무런 일도 없어 / 山中無一事

독서하며 밤에 생각하기 적합하고 / 正宜晝讀而夜思

책상 위에 만 권의 책이 있어 / 牀頭有萬編

낮에 힘쓰고 밤에도 두려워하며 힘썼네 / 更勵日乾而夕惕

사호가 바둑 둔 것을 비웃고 / 哂圍棊於四皓

칠현이 실컷 술 마신 것을 얕보네 / 鄙酣觴於七賢

문을 닫고 글을 지음에 / 閉戶著書

손경의 연구를 그윽이 생각하고 / 竊念孫敬之硏究

이불 덮고 시구 찾음에 / 覆衾覓句

어찌 진삼의 궁벽한 생각을 사모하랴 / 肯慕陳三之窮思

자장 통해 간록을 사양하고 / 謝干祿於子張

맹자에게 상우천고를 들었으니 / 聞尙志於孟氏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않으며 / 人不知而不慍

뱁새처럼 한 가지에 깃들어 사네 / 任鷦鷯一枝之栖

세상에 쓰이지 못해도 슬퍼하지 않으니 / 世莫用而莫悲

어찌 곤어와 붕새처럼 구만리 하늘을 날겠는가 / 豈鵾鵬九霄之奮

십 년 동안 금방에 이름이 누락되어 / 名漏金牓之十載

몇 칸의 석실에 전락된 신세였네 / 身落石室之數間

신선과 범부가 멀리 떨어졌어도 / 逈隔仙凡

봉래섬의 바람과 햇볕을 접하였고 / 接蓬島之風日

어부와 목동과 사귐을 맺고서 / 托契漁牧

이끼 낀 낚시터의 안개와 노을을 차지했네 / 占苔磯之煙霞

푸른 물을 이웃하여 들보를 올리고 / 蘸碧潯而抗樑

푸른 풀을 없애어 난간을 설치함에 / 壓綠蕪而橫欄

전에 지었던 집 제도에 근거하여 / 爾乃追據前修之有堂

후학들을 별업에 영접했네 / 迎接後學之別處

동려현 칠리탄 물가의 / 桐廬七里灘畔

우뚝한 조대에 어찌 비기랴 / 何取比釣臺之巋然

무이산 구곡 물가의 / 武夷九曲流邊

아름다운 정사에 견줄만 하네 / 聊可倣精舍之美也

술 마시며 시 짓는 것이 헛된 일이 아니고 / 非酒賦之徒事

진실로 거문고 타며 노래하기 매우 알맞으니 / 信絃歌之最宜

입으로는 성현들의 말씀을 끊임없이 읽고 / 口不絶於千聖之言

눈으로는 제자백가의 저술을 쉬지 않고 보네 / 目不休於百家之述

노을 먹고 달빛 아래 자는 것이 / 餐霞寢月

어찌 홀로 내 몸만을 선하게 하고자 함이랴 / 豈欲獨善其身

시를 얘기하고 예를 논함은 / 談詩論禮

영원히 많은 선비 구제함을 기약해서라네 / 永期兼濟多士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고 / 朋自遠而亦樂

속세와 가깝지 않아 더욱 한가로우니 / 俗不近而逾閒

구학은 성정을 보존할 수 있고 / 丘壑足以保性情

강산은 호준을 기르기에 알맞네 / 江山可是養豪俊

, 산신령과 수신은 / 嗟爾岳靈與川后

내 숲속 집의 상량 노래를 들어보소 / 聽我林居之棟規

 

여보게들 들보 동쪽에 떡을 던지세 / 兒郞偉抛梁東

잔잔한 긴 강물은 거울을 간 듯하네 / 長淵澹澹似磨銅

푸른 버들 낚시터엔 푸른 도롱이 입은 길손이 / 綠楊磯上綠簑客

한가로이 한 줄기 바람에 낚싯대를 드리웠네 / 閒帶漁竿一縷風

 

여보게들 들보 남쪽에 떡을 던지세 / 兒郞偉抛梁南

층암의 푸른 산이 찬 못을 둘러 있네 / 翠屛層立遶寒潭

돛배 탄 길손이 산기슭을 스쳐가며 / 孤舟過客拂殘麓

몇 번이나 아침 안개와 저녁 남기를 부수었나 / 幾破朝煙與暮嵐

 

여보게들 들보 서쪽에 떡을 던지세 / 兒郞偉抛梁西

뾰족이 선 푸른 봉은 하늘과 나란하네 / 削立靑峯天與齊

늙은 나무와 기암괴석에서 도골선풍 기르니 / 樹老巖奇養仙骨

유인은 영원히 학과 함께 지내리라 / 幽人長共鶴高栖

 

여보게들 들보 북쪽에 떡을 던지세 / 兒郞偉抛梁北

아득히 백 이랑의 푸른 들이 평평하네 / 茫茫百畝平蕪綠

봄에 밭 갈고 가을에 추수하여 농가가 풍족하니 / 春耕秋穫農家足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쉬노라 / 日出而作日入息

 

여보게들 들보 위쪽에 떡을 던지세 / 兒郞偉抛梁上

구름 기운 늘 머물고 달빛도 밝다네 / 雲氣常留月影晃

걸려 있는 폭포는 만 길 높이 빛나고 / 溪句可懸光萬丈

아름다운 산 풍경은 새 휘장을 펼친 듯 / 山圖亦合開新幛

 

여보게들 들보 아래쪽에 떡을 던지세 / 兒郞偉抛梁下

고금의 책들이 높은 시렁에 가득하네 / 今古陳篇滿高架

전현을 경모하니 이치가 많아서 / 景仰前賢多理趣

창 아래 서안에서 늘 겨를이 없네 / 晴窓棐几常無暇

 

삼가 바라건대, 상량한 뒤에는 / 伏願上梁之後

십우가 함께 모이고 / 十友駢臻

티끌 한 점 이르지 않아서 / 一塵不到

대나무가 잘 자라고 소나무가 무성하며 / 竹之苞兮松之茂

물고기가 절로 뛰고 솔개가 절로 날았으면 하네 / 魚自躍兮鳶自飛

물은 지자에게 알맞고 산은 인자에게 알맞다는 / 水宜智山宜仁

공자의 좋은 가르침을 따르고 / 服膺孔聖之嘉訓

거처가 기질을 바꾸고 봉양이 체질을 바꾼 / 居移氣養移體

제나라 왕자의 훌륭한 공을 흠모하네 / 歆艶齊子之善功

형비의 한가로움일 뿐만 아니라 / 不啻衡泌之栖遲

고반의 과축과도 매우 비슷하니 / 頗似槃磵之薖軸

바라봐도 보이지 않고 구해도 얻지 못할 땐 / 望未見求未得

스스로 학문을 기약하고 때때로 익혀서 /

이미지

  • 등록된 이미지가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