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진주시
대각서원 - 大覺書院

대각서원은 남명 조식(曺植)의 고제(高弟)인 하항(河沆)[1538~1590]을 비롯하여 손천우(孫天佑)[1533~1594]‧김대명(金大鳴)[1536~1593]‧하응도(河應圖)[1540~1609]‧이정(李瀞)[1541~1613]‧류종지(柳宗智)[1546~1589]와 하항의 문인 하수일(河受一)[1553~1612]을 제향하는 서원이다. 진주권에서는 덕천서원(德川書院)에 이어 두 번째로 건립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문화재청 홈페이지
위치 경남 진주시 수곡면 대각길 104-21 (사곡리, 대각서원)
건립연도 1610
제향인 하항, 손천우, 김대명, 하응도, 이정, 유종지, 하수일
문화재 지정 표기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이칭 / 별칭
기타 서원

상세정보

대각서원은 남명 조식(曺植)의 고제(高弟)인 하항(河沆)[1538~1590]을 비롯하여 손천우(孫天佑)[1533~1594]김대명(金大鳴)[1536~1593]하응도(河應圖)[1540~1609]이정(李瀞)[1541~1613]류종지(柳宗智)[1546~1589]와 하항의 문인 하수일(河受一)[1553~1612]을 제향하는 서원이다. 진주권에서는 덕천서원(德川書院)에 이어 두 번째로 건립되었다.

대각서원은 1606(선조 39) 하항이 세상을 떠나고 16년째 되던 해에 건원론이 제기되었다. 오건최영경정인홍정구와 함께 남명의 대표 문인이었던 하항은 약관의 나이에 산천재(山天齋)를 찾아가 남명의 문인이 되었다. 남명 사후 심상을 마치고 덕천서원의 원장을 맡았고, 산해연원록(山海淵源錄)을 찬술하였으나 병화로 소실되었다.

서원 건립은 하항의 종질이자 문인인 하수일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그는 하항의 강학처였던 각봉재(覺峯齋)를 부지로 선정하고 하항 문인들과의 협의 속에 서원 건립을 추진하였다. 16067월 서원 건립이 시작되었고 811일 상량이 이루어졌으나 사우를 완공하기까지는 4~5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1610(광해군 2) 95일 묘우가 완성되고 11월 하항의 봉안례(奉安禮)가 거행되었다.이 행사에는 하항의 문인 하수일조경홍(曺慶洪)류덕룡(柳德龍) 등을 비롯하여 57명이 참석하였다. 남명 문인 오건(吳健)의 아들이자, 하항의 문인이었던 오장(吳長)이 위판의 글씨를 쓰고 봉안문(奉安文)상향축문(常享祝文)을 지었다. 하수일은 예식의전말을 기록한 대각서원봉안서(大覺書院奉安序)를 작성하였다.
1718(숙종 44) 하수일의 현손 하세응(河世應)에 의해 손천우김대명하흥도이정류종지하수일에 대한 추향론이 제기되었다. 하세응은 하수일-하홍도(河弘度)로 이어지는 남명학통의 계승자이다. 이후 근기남인이자 퇴계학파의 일원이었던 이만부(李萬敷)가 손천우김대명의 봉안문상향축문을 쓰고, 류종지이정하수일의 봉안문을 작성해 주었다.

1721~1844년까지 기록되어 있는 대각서원원임록을 보면, 서원의 원임은 진양하씨에서 하항하수일 계열과 하홍도하홍달(河弘達) 계열, 하진(河溍) 계열, 하협(河悏) 계열이 확인되고, 태안박씨에서 박민(朴敏) 계열, 재령이씨에서 이정 계열의 후손들이 역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진주 지역 남인계 가문의 후손이었다. 그리고 남인계 진주목사였던 황류(黃懰)[1722], 남인로(南寅老)[1796]와 소론계 윤로동(尹魯東)[1799]과 남명문인 조종도(趙宗道)7세손이자 덕천서원 원장을 역임했던 조휘진(趙輝晉)도 원장을 지냈다. 1826(순조 26) 신문(神門), 주주(酒廚), 새문(塞門), 전청(典廳) 등을 새로이 중건하였다.

1869(고종 6) 흥선대원군의 훼철령에 의해 철폐되었다가 1918년 유림들의 공의에 의해 복원되었다. 2004318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44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문화재지정번호가 폐지되면서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