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진주시
도통사 - 道統祠

도통사는 유교와 성리학을 집대성한 공자(孔子)[BC551~BC479], 주자(朱子)[1130~1200]와 고려후기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安珦)[1243~1306]을 제향하는 사당이다. 한말 중국의 공교운동(孔敎運動)이 국내로 전해지면서 그 일환으로 건립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경남 진주시 내동면 내축로577번길 29-9 (유수리, 도통사)
건립연도 1913
제향인 공자, 주자, 안향, 안향
문화재 지정 표기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이칭 / 별칭
기타 사우

상세정보

도통사는 유교와 성리학을 집대성한 공자(孔子)[BC551~BC479], 주자(朱子)[1130~1200]와 고려후기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安珦)[1243~1306]을 제향하는 사당이다. 도통사 건립을 주도한 사람은 이도묵(李道默이상규(李祥奎조호래(趙鎬來안효진(安孝鎭정규석(鄭圭錫) 등으로 이들은 모두 허전(許傳)의 문인이다. 이 무렵 중국은 1898년 강유위(康有爲) 등을 중심으로 공교운동(孔敎運動)이 전개되고 있었다. 이 운동은 기존 유교가 가진 폐단을 개혁하여 새로운 종교로 만들어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했던 운동이다.

공교운동이 조선으로 전해지질 무렵 경남 유림들은 1909년 이도묵 등을 중심으로 회헌안선생실기(晦軒安先生實記)를 중간하였다. 이들은 진주 순흥안씨 재실인 연산재(硯山齋)에 실기를 소장한 뒤 1910915일 채례(菜禮)를 행하고, 유안(儒案)을 만들었다. 당시 많은 유림들이 호응해오자 이들은 안향을 숭정(崇正)하는 것에 감회를 받고, 1913년 연산에 도통사 창건을 발의하게 된다. 191323일 조호래가 각 도, 군의 향교와 서원에 창건 통문을 발송하고, 10월에는 연산재 뒤편에 영정각(影幀閣)을 건립하였다. 영정각 중앙에 공자, 동벽에 주자, 서벽에 안향을 봉안하고 도통사라 명하였다. 초대 강장(講長)에 이도묵이 선출되었고, 계장(契長)은 민치량(閔致良), 재장(齋長)에는 이상규, 도검(都檢)은 심의규(沈宜奎조호래, 도청유학(道廳幼學)에 안효진이 임명되었다.

이후 1915년 가을 도통사에서 공자편년(孔子編年), 주자연보(朱子年譜), 안자연보(安子年譜)????를 합간(合刊)하였으며, 공자 탄생일인 1917827중화궐리공교총연산도통사동문공교지회취지서(中華闕里孔敎總硯山道統祠同文孔敎支會趣旨書)·공교지회규례(孔敎支會規例)·궐리공교총도통사지임원(闕里孔敎總道統祠支任員)을 작성하여 도통사 공교지회로서 전역에 반포하였다. 1919년에는 안효진·윤헌섭(尹憲燮안승일(安承一)을 중국 궐리로 파견하였다.

도통사의 운영조직은 회장(會長) 1, 부회장(副會長) 1, 총리(總理) 1, 부총리(副總理) 6, 경리(經理) 13, 협리(協理) 16, 약정(約正) 65, 찬성(贊成) 19, 평의(評議) 55, 장의(掌儀) 19인을 두었다. 각 도에는 약정 1, 강장 1, 계장 1인을 두고, 각 군에는 찬성·강장·계장 약간 명을, 도통사 사당에는 당장(堂長) 1, 강장 1, 계장 1, 당임(堂任) 3인을 두었다.

도통사는 본래 대평면 하촌리 547-2번지에 소재하였으나 남강댐 숭상공사로 인해 1995년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그리고 19837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3호로 지정되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