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나주시
경렬사 - 景烈祠


경렬사는 정지(鄭地), 정충신(鄭忠信), 김상의(金尙義), 유평(柳玶), 고중영(高仲英)‧고경조(高敬祖), 전상의(全尙毅), 유성익(柳聖翊)을 제향하는 사우이다. 정지는 고려 말 무신으로 나주에서 태어났다. 순천도병마사로서 순천·낙안 등지의 왜구를 격퇴하였고, 1378년(우왕 4) 영광·광주·담양·화순 등지의 왜구를 격퇴하여 전라도순문사가 되었다. 이성계의 위화도회군에 동참하는 한편 이 시기에도 왜구를 격퇴하여 공을 세웠다. 사후 경렬(景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정충신은 정지의 9대손으로 임진왜란 때 광주목사의 명으로 의주 행재소로 달려가 전라도의 상황을 보고한 바 있다. 인조반정 이후 이괄의 난을 진압하여 공을 세웠다. 유평은 김장생의 문인으로 그 역시 이괄의 난이 발생하자 창의도유사가 되어 난을 진압하였다. 고중영‧고경조는 부자(父子)지간이다. 특히 고경조는 선조 연간 해미현감‧임천군수‧광주목사 등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당시 전라도 의병장인 고경명이 그의 사촌동생이다. 전상의는 1627년(인조 5) 구성부사로서 좌영장을 겸하며 건주(建州)의 야인이 침입해 오자 격파하다 순절하였다.
1644년(인조 22) 건립될 때에는 정지만을 주향으로 했으나 1705년(숙종 31) 규모를 확장하며 나머지 인물들을 배향하였다.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자 1914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에 복설하였다. 1976년 중수가 있었으며 2001년 12월 31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196호로 지정되었다. 2021년 문화재지정번호가 폐지되면서 전라남도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전남 나주시 노안면 금안1길 32 (금안리, 경열사)
건립연도 1644
제향인 정지, 정충신, 유평, 고중영, 전상의, 고경조, 유성익
문화재 지정 표기 전라남도 기념물
이칭 / 별칭 나주경렬
기타 사우

상세정보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