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담양군
담양 미암사당 - 潭陽 眉巖祠堂

2001년 9월 27일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36호로 지정되었다. 미암(眉巖) 유희춘의 사당은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세워졌다. 이 사당은 《미암일기(판본포함)(眉巖日記)》를 소장하고 있는 모현관의 뒤편에 있는데 미암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유희춘이 후학을 양성하였던 연계정은 모현관 입구 왼쪽 언덕에 자리잡고 있다.

유희춘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인중(仁仲), 호는 미암이고, 본관은 선산(善山), 시호는 문절(文節)이다. 최산두(崔山斗)와 김안국(金安國)에게 배웠으며 1538년(중종 3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수찬·정언 등을 지냈다.

1547년(명종 2)에 일어난 정미사화(丁未士禍)에 연루되어 제주도에 유배되었다가 선조(宣祖) 때 대사성·부제학·전라도관찰사·대사헌·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담양의 의암서원(義巖書院), 무장(茂長)의 충현사(忠賢祠), 종성(鍾城)의 종산서원(鍾山書院)에 제향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담양 미암사당 [潭陽眉巖祠堂]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ccbaKdcd=24&ccbaAsno=00360000&ccbaCtcd=36&ccbaCpno=2443600360000&ccbaCncl=1®ion=&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
위치 전남 담양군 대덕면 장동길 89-4 (장산리)
건립연도 1608
제향인 유희춘
문화재 지정 표기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 36호
이칭 / 별칭
기타 사우

상세정보


담양 미암사당 1.png

 

담양 미암사당 2.png

 

담양 미암사당 3.png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