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죽수서원 > 관찬사료

간략정보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연관서원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전남 화순군 한천면 학포로 1786-45 (모산리, 죽수서원)
건립연도 1570
문화재 지정 표기
제향인
기타 서원

관찬사료

정조 년(1797) 6월 2일 

○ 앞서 을묘년(1795, 정조19)에 자궁(慈宮)의 주갑(周甲)을 맞은 경사스러운 때에 윤음(綸音)을 내려 서울과 지방에 향음(鄕飮)하는 예(禮)를 천명(闡明)하여 효를 권장하고 널리 공경하게 하고 또 각신(閣臣) 등에게 명하여 역대(歷代)의 향음하는 의식(儀式)을 모아 책으로 엮어 사람들이 볼 수 있게 하였다. 마침 대신(大臣 윤시동(尹蓍東))이 향음과 향약(鄕約) 어느 한쪽도 버릴 수 없다고 하였는데 나는 향약은 한 마을에서만 시행할 수 있는 것인데 조정에서 법을 만들어 반포하여 시행한다면 고금(古今)의 원칙이 달라서 효과는 없고 폐단만 생기기 십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런데 대신이 반포하여 시행하기를 간절히 청하여서 마침내 향약도 아울러 싣도록 명하였다. 또한 관례(冠禮)와 혼례(昏禮)로 말하면 곧 선왕(先王)께서 단초(端初)를 만들고 그 시작을 올바르게 하신 뜻인데 먼 시골에는 서적을 갖추지 못하고 있기에 사관례(士冠禮)와 사혼례(士昏禮)를 모아서 편말(篇末)에 붙여 3편으로 정리하여 제1편은 향음, 그다음 편은 향사(鄕射)와 향약, 그다음 편은 사관례와 사혼례를 싣도록 명하였다. 3월 24일에 각신 등이 이를 편찬하여 올려서 《향례합편》이라는 이름을 내리고 주자소(鑄字所)로 하여금 정유자(丁酉字)로 인쇄하게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공정(工程)을 마치게 되자, 전교하기를,

“《향례합편》을 대내(大內)에 50건(件)을 들이고, 서고(西庫)에 30건, 화성(華城) 행궁(行宮)에 5건, 내각(內閣)에 10건, 옥당(玉堂)에 2건, 춘방(春坊)에 5건, 한성부에 2건씩 나누어 주고, 외규장각(外奎章閣), 5곳의 사고(史庫), 정원의 당후(堂后), 외각(外閣 교서관(校書館)), 성균관, 사학(四學), 의정부, 비변사, 육조(六曹), 오부(五部)의 각 방(坊), 팔도의 감영(監營), 사도(四都)의 유수영(留守營), 330개 주현(州縣) 및 향교(鄕校), 서원(書院), 화성(華城)의 52개 면(面)에 각각 1건씩 나누어 주라. 시원임 대신(時原任大臣), 시원임 각신(時原任閣臣), 사부(師傅), 유선(諭善), 시임 옥당(時任玉堂), 교정(校正)을 맡았던 예조 당상, 초계 문신(抄啓文臣), 검서관, 왕명으로 제수되어 선사(繕寫)를 맡았던 초계 문신, 근래에 현토(懸吐) 및 교정, 서사(書寫) 등의 공역(工役)에 참여한 여러 신하에게 각각 1건씩 사급하라.”

하였다.

○ 후록(後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원부(水原府)의 매곡서원(梅谷書院), 개성부(開城府)의 숭양서원(崧陽書院)ㆍ화곡서원(花谷書院), 강화부(江華府)의 충렬사(忠烈祠), 광주부(廣州府)의 명고서원(明皐書院)ㆍ현절사(顯節祠), 여주(呂州)의 대로사(大老祠), 양주(楊州)의 도봉서원(道峯書院)ㆍ석실서원(石室書院)ㆍ청절사(淸節祠), 파주(坡州)의 파산서원(坡山書院)ㆍ자운서원(紫雲書院), 장단(長湍)의 임강서원(臨江書院), 풍덕(豐德)의 구암서원(龜巖書院), 인천(仁川)의 학산서원(鶴山書院), 남양(南陽)의 용백사(龍栢祠), 마전(麻田)의 미강서원(湄江書院), 김포(金浦)의 우저서원(牛渚書院), 교하(交河)의 신곡서원(新谷書院), 용인(龍仁)의 충렬서원(忠烈書院), 영평(永平)의 옥병서원(玉屛書院), 포천(抱川)의 화산서원(花山書院), 시흥(始興)의 충현서원(忠賢書院), 과천(果川)의 민절서원(愍節書院)ㆍ노강서원(鷺江書院)ㆍ사충서원(四忠書院), 양성(陽城)의 덕봉서원(德峯書院), 연천(漣川)의 임장서원(臨漳書院), 청주(淸州)의 신항서원(莘巷書院)ㆍ화양서원(華陽書院), 충주(忠州)의 누암서원(樓巖書院), 공주(公州)의 충현서원(忠賢書院), 홍주(洪州)의 노은서원(魯恩書院), 청풍(淸風)의 황강서원(黃江書院), 한산(韓山)의 문헌서원(文獻書院), 옥천(沃川)의 창주서원(滄洲書院), 서천(舒川)의 건암서원(建巖書院), 임천(林川)의 칠산서원(七山書院), 서산(瑞山)의 성암서원(聖巖書院), 문의(文義)의 노봉서원(魯峯書院), 진천(鎭川)의 백원서원(百源書院), 회덕(懷德)의 숭현서원(崇賢書院), 보령(保寧)의 화암서원(花巖書院), 홍산(鴻山)의 창렬서원(彰烈書院), 연산(連山)의 돈암서원(遯巖書院), 목천(木川)의 도동서원(道東書院), 평택(平澤)의 포의사(褒義祠), 황간(黃澗)의 한천서원(寒泉書院), 부여(扶餘)의 부산서원(浮山書院), 이성(尼城)의 노강서원(魯岡書院), 경주(慶州)의 옥산서원(玉山書院), 안동(安東)의 호계서원(虎溪書院), 성주(星州)의 회연서원(檜淵書院), 진주(晉州)의 덕천서원(德川書院), 상주(尙州)의 도남서원(道南書院), 함양(咸陽)의 남계서원(藍溪書院), 대구(大邱)의 연경서원(硏經書院), 밀양(密陽)의 예림서원(禮林書院), 선산(善山)의 금오서원(金烏書院), 인동(仁同)의 동락서원(東洛書院), 예안(禮安)의 도산서원(陶山書院), 안의(安義)의 용문서원(龍門書院), 단성(丹城)의 도천서원(道川書院), 청송(靑松)의 병암서원(屛巖書院), 칠원(漆原)의 덕연서원(德淵書院), 순흥(順興)의 소수서원(紹修書院), 전주(全州)의 화산서원(華山書院), 나주(羅州)의 경현서원(景賢書院), 능주(綾州)의 죽수서원(竹樹書院), 광주(光州)의 월봉서원(月峯書院), 제주(濟州)의 귤림서원(橘林書院), 장성(長城)의 필암서원(筆巖書院), 순천(順天)의 옥천서원(玉川書院), 남원(南原)의 노봉서원(露峯書院), 담양(潭陽)의 의암서원(義巖書院), 여산(礪山)의 죽림서원(竹林書院), 보성(寶城)의 대계서원(大溪書院), 익산(益山)의 화산서원(華山書院), 창평(昌平)의 송강서원(松江書院), 정읍(井邑)의 고암서원(考巖書院), 해주(海州)의 소현서원(紹賢書院), 황주(黃州)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 배천(白川)의 문회서원(文會書院), 안악(安岳)의 취봉서원(鷲峯書院), 강릉(江陵)의 송담서원(松潭書院), 원주(原州)의 칠봉서원(七峯書院), 영월(寧越)의 신절사(新節祠), 함흥(咸興)의 문회서원(文會書院)ㆍ운전서원(雲田書院), 길주(吉州)의 명천서원(溟川書院), 경성(鏡城)의 신렬사(新烈祠), 북청(北靑)의 노덕서원(老德書院), 종성(鍾城)의 종산서원(鍾山書院), 평양(平壤)의 인현서원(仁賢書院), 영변(寧邊)의 약봉서원(藥峯書院), 정주(定州)의 신안서원(新安書院), 강계(江界)의 경현서원(景賢書院), 희천(熙川)의 상현서원(象賢書院), 벽동(碧潼)의 구봉서원(九峯書院), 영유(永柔)의 와룡사(臥龍祠)에 각각 1건씩 나누어 주었다.

○ 후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의정 홍낙성(洪樂性), 좌의정 채제공(蔡濟恭), 영돈녕부사 김이소(金履素), 영중추부사 김희(金憙), 우의정 이병모(李秉模), 고(故) 우의정 윤시동(尹蓍東)의 집, 예조 판서 민종현(閔鍾顯), 내각 제학 정민시(鄭民始)ㆍ심환지(沈煥之), 원임 직제학 서호수(徐浩修)ㆍ서유방(徐有防)ㆍ서정수(徐鼎修)ㆍ김재찬(金載瓚)ㆍ서용보(徐龍輔)ㆍ정대용(鄭大容), 직제학 이만수(李晩秀), 원임 직각 김면주(金勉柱)ㆍ윤행임(尹行恁)ㆍ서영보(徐榮輔)ㆍ남공철(南公轍)ㆍ김조순(金祖淳)ㆍ이시원(李始源), 검교대교 심상규(沈象奎)ㆍ서유구(徐有榘), 원임 대교 이존수(李存秀), 사부(師傅) 송환기(宋煥箕), 유선(諭善) 이성보(李城輔)ㆍ윤득부(尹得孚), 광주 유수(廣州留守) 서유린(徐有隣), 지사(知事) 정창순(鄭昌順), 봉조하(奉朝賀) 이명식(李命植)ㆍ서유신(徐有臣), 상호군(上護軍) 홍양호(洪良浩), 이조 판서 이병정(李秉鼎), 호군(護軍) 홍인호(洪仁浩)ㆍ이익운(李益運)ㆍ이서구(李書九)ㆍ신기(申耆)ㆍ김이익(金履翼)ㆍ조윤형(曺允亨), 황해 감사 이의준(李義駿), 도승지 조진관(趙鎭寬), 병조 참판 강이정(姜彝正), 승지 이면긍(李勉兢), 병조 참의 목만중(睦萬中), 참지 김재익(金載翼), 부호군(副護軍) 한만유(韓晩裕)ㆍ김달순(金達淳)ㆍ이상도(李尙度)ㆍ이정덕(李鼎德)ㆍ이조원(李肇源)ㆍ김계락(金啓洛)ㆍ윤광안(尹光顔)ㆍ이상황(李相璜)ㆍ정약용(丁若鏞)ㆍ이익진(李翼晉)ㆍ한용화(韓用和)ㆍ성대중(成大中), 풍천 부사(豐川府使) 최광태(崔光泰), 응교 이익모(李翊模), 부응교 박재순(朴載淳), 교리 박길원(朴吉源), 부교리 홍수만(洪秀晩)ㆍ윤익렬(尹益烈), 수찬 윤서동(尹序東), 부수찬 윤행직(尹行直)ㆍ이기양(李基讓), 초계 문신 이유수(李儒修)ㆍ송지렴(宋知濂)ㆍ김희화(金熙華)ㆍ박종순(朴鍾淳)ㆍ한용탁(韓用鐸)ㆍ정노영(鄭魯榮)ㆍ김근순(金近淳)ㆍ신현(申絢)ㆍ조석중(曺錫中)ㆍ홍석주(洪奭周)ㆍ김이교(金履喬)ㆍ김이재(金履載)ㆍ김희락(金熙洛)ㆍ김희주(金熙周)ㆍ홍낙준(洪樂浚)ㆍ김처암(金處巖)ㆍ강준흠(姜浚欽)ㆍ유태좌(柳台佐)ㆍ이희갑(李羲甲)ㆍ이동만(李東萬)ㆍ한치응(韓致應)ㆍ유원명(柳遠鳴)ㆍ오태증(吳泰曾)ㆍ김이영(金履永)ㆍ권준(權晙)ㆍ이명연(李明淵)ㆍ이영발(李英發)ㆍ윤치영(尹致永)ㆍ송면재(宋冕載)ㆍ홍명주(洪命周)ㆍ황기천(黃基天)ㆍ조만원(趙萬元)ㆍ구득로(具得魯), 권지 승문원부정자 이의채(李毅采)ㆍ이홍겸(李弘謙)ㆍ임준상(任俊常)ㆍ한치중(韓致重)ㆍ이영하(李泳夏)ㆍ남도중(南度中)ㆍ이윤겸(李允謙), 겸춘추 김양척(金良倜), 장악원 정 이술원(李述源), 상의원 첨정 남명학(南溟學), 전 검서관 유득공(柳得恭)ㆍ박제가(朴齊家)에게 각각 1건씩 사급하였다.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