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The Culture of Seown (書院:private academy)
In East Asia and Glocalism

무안군
무안 화설당 - 務安 花雪堂

무안 화설당은 유운(柳運, 1580~1643)이 1610년경에 건립했는데 명칭은 1612년 겨울에 나주 목사 박동렬(1564-1622)이 수은 강항(1567-1618)과 찾아와 겨울인데도 동백꽃이 있어서 화설이라 하고 시 1수를 남긴데서 연유한다. 강항은 화설당기(花雪堂記)를 남기며, 송시열(1607~1689)이 판액을 썼다. 1728년, 1869년에 중수하였다. 건축 구성에 있어서도 다른 정자와 평면형식이 구별된다. 즉 완전한‘一’자형 으로 좌로부터 방, 방, 대청 2칸 순으로 꾸며져 있고 전·후로 모두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특히 좌측 방에는 이 지역 민가에서 볼 수 있는 ‘봉창’도 설치하였다.

무안 화설당은 1600년대 건립하여 뒤에 개수한 건물로 강학 교류 공간으로서 중요한 유적지이며 관련인물이나 자료 등에 있어서도 오래된 유서가 있는 역사성과 평면구성상의 특징이 나타나 비교연구 할 수 있는 학술성의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좌우로 스크롤하시면 전체 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위치 건립연도 제향인 기타 안내표

위치 전남 무안군 청계면 사마리 434-3
건립연도 1610
제향인
문화재 지정 표기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 271호
이칭 / 별칭
기타 서당

상세정보


화설당1.png

 

화설당2.png

 

화설당3.png

TOP
한국서원 제향인물 동아시아서원 서원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