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research

세부계획

  • 1단계
    • 1차년('19.09~'20.08), 제향과 교육의 공간, 서원
      이 연구는 역사 속에서 발생한 다양한 교육, 제향 활동에 대한 거시적 이해 지평 위에서, 서원의 교육, 제향 활동이 드러내는 구체적 의미를 미시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서원이라는 문화 유산의 본질적 가치를 부각, 복원하는 데 학술적 역점을 둔다. 넓은 의미에서, 서원의 역사는 인류 교육사의 일환이자, 동시에 인류 문화 집단의 자기동일성을 정위하는 제례 활동의 날실이었다.
      그러므로 서원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는 두 가지 핵심 요소, 즉 제향과 교육 활동의 근거, 동기, 사례를 검토하고, 나아가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은 서원 연구의 기초 작업에 해당한다.
    • 2차년('20.09~'21.08), 동아시아 지식 네트워크와 서원 아카이브
      장서(藏書)는 교육, 제향과 더불어 서원의 핵심 기능 가운데 하나로 분류된다.
      서원의 장서는 역사적 차원에서 지식의 보존과 전승의 의미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서원의 사상적 특징 및 교육 경향을 드러내고, 지역의 지식 전파, 지식인의 결집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므로 지성의 보고(寶庫)로서의 서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기 위해, 동아시아 서원의 장서 방법과 그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 작업이 요청된다.
    • 3차년('21.09~'22.08), 동아시아 문화의 지역성과 서원 운영
      본 연구는 국제적인 시각에서 각국 서원 문화를 종합적으로 비교 고찰함으로써 동아시아 서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한다.
      서원은 한국의 지성사를 대표하는 고유문화유산이기도 하지만, 중국에 그 시원(始原)을 두고 있으며, 동아시아 각국에 전파된 보편 문화 유산이기도 하다.
      따라서 서원의 핵심 기능, 즉 교육, 제향, 경제 기반, 장서뿐만 아니라 각국 서원의 건립 목적, 구성 체계, 나아가 정치, 사회, 문화적 영향력에 이르기까지, 구별되거나 취합될 수 있는 대부분 표상적, 표의적 개념을 비교대상으로 삼아 전방위적 학술 연구를 진행한다.
      이로써 동아시아 지성사의 다기한 양상 및 문화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읽어내는 데 중요한 시각을 제공한다.
  • 2단계
    • 1차년('22.09~'23.08),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 서원의 변용
      근대 동아시아 격변의 역사는 자연스럽게 각국 서원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근대의 물결에 조응한 각국 서원의 자생적 의지는 그 전통 계승과 변화의 모색에 있어 또다른 다기한 양상을 낳는다.
      본 연구는 지금껏 충실히 축적된 동아시아 전통 서원 연구 성과 및 국내외의 연구 자료를 토대로, 근대 이행기 변화의 국면에 선 각국 동아시아 서원의 계승, 발전, 전환 양상을 파악해본다.
      또한 이 시기의 독특한 신설 서원 또한 검토해봄으로써 근대 서원의 새로운 조형을 인각해본다.
      이러한 통시적 연구로부터 근대 동아시아 서원 문화가 드러내는 독특한 시대정신이 종합적으로 규명된다.
    • 2차년('23.09~'24.08), 서양 중세 대학과 동아시아 서원의 비교
      동아시아라는 지역에 한정적으로 유용(流用)되었던 서원이 세계적인 차원에서 학술적, 문화적 조명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그 보편적 기능에 착안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바로 인류의 항상적 활동이었던 ‘교육’을 그 핵심 기능으로 간주하고, 서원을 동-서 교육문화 연구의 비교 반열에 정위한다.
      서원의 발생 및 활용 시기에 입각한다면, 이에 대비되는 서양의 교육 문화는 크게 수도원 또는 대학으로 대표될 수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통 교육은 신앙과 이성, 그리고 지성(知性)과 정성(情性)의 함양 모두에 착안하는 바가 있었다는 점에서 일련의 보편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교육기관의 비교를 매개로 인류 지성사의 발전과 그 보편성을 새롭게 읽어내는 것이다.
    • 3차년('24.09~'25.08), 동아시아 서원 문화의 현대적 계승과 활용
      서원은 문화 유산이기도 하지만, 현재로서 작용할 때 비로소 유용성과 가치를 담지할 수 있다. 최종 연구 단계에서는 기수행된 동아시아 서원 문화의 다양한 성과를 토대로, 서원이 가지는 보편적이면서도 특수한 인문적 가치를 어떻게 계승, 활용할 것인가라는 실재적인 고찰을 진행한다. 이는 현대 사회의 현실적 여건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토대로 사회, 교육, 학술, 생활, 나아가 경제적 차원에서 그 가치를 복원, 확보하려는 학술적 고찰을 포함한다.
      이로부터 서원은 과거의 지상(紙上)의 유산으로 사장되지 않고, 미래의 지상(地上)에 건립될 것으로 기대된다.
TOP
영문중문
연구단소개 사업소개 연단소식 연구성과 자료실 서원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