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_META_TITLE_ 휴관일입니다.


연구성과

동아시아 서원 아카이브와 지식 네트워크

작성일
2022.05.18.
조회수
660
동아시아 서원 아카이브와 지식 네트워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  2022년  /  온샘


 

- 목차 -


책을 펴내며


1부 동아시아 서원의 아카이브 구축과 운영

 

한국 서원 장서의 구축과 관리 제도의 변화 ▣ 이병훈

Ⅰ 머리말

Ⅱ 한국 서원의 장서 구축

Ⅲ 한국 서원의 장서 관리

Ⅳ 맺음말

 

도산서원 각판(刻板)활동 연구 ▣ 배현숙

Ⅰ 서언

Ⅱ 도산서원 각판 서적

Ⅲ 도산서원 각판 과정의 기록

Ⅳ 도산서원 책판의 특징과 의의

Ⅴ 결언

 

청말 서원 장서 제도 연구 ▣ 등홍파(鄧洪波)장효신(張曉新)

Ⅰ 청말 서원 장서 제도의 보급 : "비필비(非必備)"로부터 전체(全體)에 이르는 경동성(傾同性)

Ⅱ 청말 서원 장서의 개방화와 사회화

Ⅲ 청말 서원 장서 관리의 내부 규범화

Ⅳ 서학화(西學化영향 아래 청말 서원의 장서 제도

Ⅴ 결론

 

중국 서적의 동아시아 도서(圖書형성 및 구조에 대한 영향 일고(一考서원본(書院本)을 중심으로 ▣ 나금(羅琴)

Ⅰ 들어가는 말

Ⅱ 중국본의 동아시아 도서 형성 구조에 대한 영향서원본을 중심으로

Ⅲ 결론

 

일본서원의 장서구축이토 진사이(伊藤仁齋가문과 고의당문고(古義堂文庫)- ▣ 야규 마코토(柳生眞)

Ⅰ 머리말

Ⅱ 고의당 창립자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Ⅲ 덴리도서관(天理圖書館)과 고의당문고(古義堂文庫)

Ⅳ 맺음말

 

 

2부 조선시대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구축과 특징

 

조선시대 학파의 '도통의식과 서원의 확산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퇴계학파를 중심으로- ▣ 이광우

Ⅰ 머리말

Ⅱ 퇴계학파의 성립과 서원

Ⅲ 퇴계학파의 분기와 서원의 확산

Ⅵ 17세기 전반 서애학파(西厓學派)의 '도통의식과 서원 설립

Ⅴ 17세기 전반 한강학파(寒岡學派)의 성립과 서원 확산

Ⅵ 맺음말

 

16세기 서원지의 출현과 지식의 전개 ▣ 임근실

Ⅰ 서론

Ⅱ 서원의 설립

Ⅲ 서원지의 출현

Ⅳ 서원 지식의 전개

Ⅴ 결론

 

조선시대 서원 학규의 시기별 경향 16세기~18세기를 중심으로- ▣ 한재훈 323

Ⅰ 여는 말

Ⅱ 16세기 학규의 경향

Ⅲ 17세기 학규의 경향

Ⅳ 18세기 학규의 경향

Ⅴ 맺는 말

 

조선시대 근기지역 서원의 강규와 강학 ▣ 이경동

Ⅰ 머리말

Ⅱ 16세기 후반 이이의 서원 강규와 강학 거재 유생과 정기 강회의 도입

Ⅲ 17세기 후반 박세채의 서원 강규와 강학 강학 교재와 강회 절차의 규정

Ⅳ 18세기 노론낙론계의 서원 강규과 강학 평가방식의 도입과 강학의례의 세분화

Ⅴ 맺음말

 

19세기말 서원강회와 학파의 분화과정주리론을 중심으로- ▣ 정순우

Ⅰ 서언

Ⅱ 산천재(山天齋강회와 제 학파의 만남

Ⅲ 선석사(禪石寺강회와 주리론의 분화

Ⅵ 오천강회(浯川講會), 도산 주리론의 대응

Ⅴ 화서학파의 장담강회(長潭講會), 주리론적 척사론(斥邪論)

Ⅵ 결어

 

 

3부 한국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 사례

 

신산서원의 강학전통 ▣ 정석태

Ⅰ 머리말

Ⅱ 신산서원의 설립과 변화과정

Ⅲ 신산서원의 초기 강학정신

Ⅳ 신산서원 강학정신의 변모와 계승 양상

Ⅴ 맺음말

 

16세기 호남사림 정염(丁焰)의 학맥과 지금서사(知今書舍강학 ▣ 이선아

Ⅰ 머리말

Ⅱ 정염의 학맥과 교유관계

Ⅲ 知今書舍 강학과 남원의 三溪講舍

Ⅳ 맺음말

 

조선시대 호계서원 강학 연구 ▣ 김자운

Ⅰ 머리말

Ⅱ 설립 초기 호계서원의 위상과 관학적 성격

Ⅲ 18~19세기 강회의 특징과 대산학의 계승

Ⅳ 1765년 大學 강회의 형식과 내용

Ⅴ 맺음말

 

서원의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 상주 도남서원(道南書院)의 시회(詩會)를 중심으로-▣ 채광수

Ⅰ 머리말

Ⅱ 도남서원 주도 세력 네트워크의 성격

Ⅲ 도남서원 지식 네트워크 활동의 실제

 

 

 

Ⅳ 맺음말

Total : 5개 (page : 1/1)

1
TOP
영문중문
연구단소개 사업소개 연단소식 연구성과 자료실 서원아카이브